반응형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원전반대의 영향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환상이 증가하고 있다. 과연 환경단체에서 말하는 태양, 풍력에너지가 우리의 에너지원을 대체할 수 있는가?

지난 5월 14일 미국 New Orleans 에서 개최된 NEI(Nuclear Energy Institute) 회의에서 Rockefeller 대학의 인류환경을 위한 프로그램 책임자인 Jesse Ausubel은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나친 기대는 환상이라고 했다.

또한 지난 150년간 에너지원의 중심은 석탄 -> 석유 -> 메탄으로 이어 지며 2020년까지 세계 에너지의 중심은 메탄이 되겠지만 궁극적으로 Co2가스 발생이 안되는 미래 에너지원은 수소 사용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수소를 생산하는 에너지 역시 탄소가 없는 에너지여야 하며 이것은 Ausubel에 따르면 원자력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도 탄소 발생은 없지만 실제적인 에너지 공급원은 될 수 없는 것이 미국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다. 1980년부터 미 에너지 부(DOE)가 태양광에 60억불, 지열에 20억불, 풍력에 10억불을 쏟아 부었지만 수력을 제외한 재생에너지는 미국 전력의 약 2% 정도 밖에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Ausubel은 『태양광 및 재생에너지에 대한 환상에도 불구하고 2000년도 미국에서 소비된 에너지의 1/90도 공급하지 못했으니, 더 이상 거짓과 잡신을 신격화하지 말자』며 재생에너지에 대한 환상을 버리라고 한다.

결국 중장기적으로 전기와 수소의 적합한 공급원으로 원자력만이 남게되며 원자력 발전소는 낮에는 전기를 만들고 저녁 9시부터 다음날 아침까지는 수소를 만들어 하루 24시간 풀 가동되어 전세계 수십억의 인류에게 에너지를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자료출처 : Nuclear Energy Overview 2004.5.24)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반핵/환경단체들이 원전을 중단하며 재생에너지 사용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환상에 불과하다. 현실을 인식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 운전자들의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평균 얼마일까?
내차는 몇 km를 주행한 후 엔진오일을 바꿔야 하나?
차를 가진 운전자라면 한번쯤은 자신의 차는 언제 오일을 교환해야 할까에 대해 궁금해 했을 것이다.

얼마 전 우리 나라 승용차들의 오일교환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 나라의 평균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6,100km에 불과 하다고 조사되었다.

그런데도 오일을 제때에 교환하지 못해 불안감을 느꼈다는 사람이 조사자 중 64%나 되었다.
이것은 엔진오일 교환 시기에 대한 잘못된 인식 탓이다.
엔진오일은 필요시 보충만 하면 15,000km 이상 운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정보 부족으로 실제 교환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운행한 후 교환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엔진오일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외국자동차사들은 교환 권장주기를 15,000∼20,000km로 늘리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수출용에만 외국 자동차사와 유사한 주기를 권장하고, 내수용에는 외국의 절반수준에 불과한 10,000km를 권장하고 있다.
또한 '가혹조건'을 광범위하고 추상적으로 설정하고 있어 더더욱 소비자들의 적정 교환주기 계산에 혼란을 주고 있다.

새차의 엔진오일 교환주기 또한 마찬가지이다. 새차의 첫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1,000km 정도로
짧게 권장하는 것도 아무런 근거가 없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엔진오일의 조기교환은 엔진 성능
향상이나 연비와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환경오염의 가능성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우리의 잘못된 인식을 고쳐 한해 평균 3천 300억원이라는 비용을 절감하고,
버려지는 오일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정확한 정보와 이에 따른 새로운 의식변화가 요구되어야 할 때인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